본문 바로가기
가스에 대해 알아보자

반도체 제조 공정의 핵심: 다양한 종류의 특수 가스

by 웃으며살자~야! 2025. 7. 7.
반응형

현대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반도체는 우리 생활 속 전자기기의 두뇌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반도체 제조 공정은 수많은 미세 공정의 연속이며, 이 과정에서 고순도 특수 가스는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재료입니다. 웨이퍼 위에 미세 회로를 형성하고, 불순물을 제거하며, 원하는 물질을 증착하는 등 각 공정 단계마다 특정 반도체 공정 가스가 정밀하게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다양한 가스 종류와 그 용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이들이 왜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지 설명합니다.

 

1. 증착 공정 가스: 얇은 막을 만드는 핵심 재료

증착(Deposition) 공정은 웨이퍼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증착 가스가 활용됩니다.

  • 실란 (): 실리콘 기반 막(예: 폴리실리콘,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가스입니다. 특히 는 다양한 형태의 CVD(화학 기상 증착) 공정에 널리 쓰입니다.
  • 디실란 (): 보다 낮은 온도에서 빠르게 실리콘 막을 형성할 수 있어, 미세화된 반도체 공정에 유리합니다.
  • 암모니아 (): 실리콘 질화막() 증착 시 질소 공급원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절연막 및 배리어(barrier) 막으로 활용됩니다.
  • 아산화질소 (): 실리콘 산화막() 증착 시 산소 공급원으로 사용되며, 주로 PECVD(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 공정에서 활용됩니다.
  • 텅스텐 육불화물 (): 금속 배선 형성 시 텅스텐 막을 증착하는 데 사용됩니다. 낮은 저항과 높은 열 안정성으로 인해 금속 컨택 및 비아(Via) 충전에 필수적입니다.
  • 산소 (): 산화막 증착 공정에서 산소 공급원으로 사용됩니다.

2. 식각 공정 가스: 미세 회로를 정교하게 깎아내는 '조각칼'

식각(Etching) 공정은 증착된 막 중에서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여 미세한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건식 식각(Dry Etching) 시 플라즈마 상태의 식각 가스가 사용됩니다.

  • 불소계 가스 (Fluorocarbon Gases):
    • 사플루오린화탄소 (): 산화막 및 질화막 식각에 널리 사용됩니다.
    • 헥사플루오로에탄 (): 산화막 식각에 사용되며, 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 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뷰테인 (): 3D NAND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 식각에 높은 선택비(Selectivity)를 제공합니다.
    • 트리플루오르메탄 (): 질화막 및 산화막 식각에 사용됩니다.
    • 육불화황 (): 폴리실리콘, 실리콘 질화막, 텅스텐 등 다양한 물질 식각에 사용됩니다. 특히 TSV(Through-Silicon Via) 식각에 활용됩니다.
  • 염소계 가스 (Chlorine-based Gases):
    • 염소 (): 폴리실리콘, 알루미늄, 텅스텐 등 금속 및 반도체 물질 식각에 사용됩니다.
    • 삼염화붕소 (): 알루미늄, 산화막, 질화막 등의 식각에 사용되며, 플라즈마 발생에 유리합니다.
    • 브롬화수소 (): 폴리실리콘 및 금속 식각에 사용되며, 정밀하고 수직적인 식각 능력이 우수합니다.

3. 도핑 공정 가스: 반도체에 전기적 성질을 부여하다

도핑(Doping) 공정은 순수한 반도체에 미량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전기적 특성(N형 또는 P형)을 변화시키는 과정입니다.

  • 인화수소 ():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인(P)을 주입하는 데 사용됩니다.
  • 아르신 ():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비소(As)를 주입하는 데 사용됩니다.
  • 삼불화붕소 (): P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붕소(B)를 주입하는 데 사용됩니다.
  • 디보란 (): P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붕소(B)를 주입하는 데 사용됩니다.

4. 세정 및 챔버 클리닝 가스: 청결한 환경 유지의 필수 요소

반도체 공정은 극도로 청결한 환경을 요구합니다. 공정 중 발생하는 잔류물이나 챔버 내부에 쌓이는 오염물질은 수율과 제품 품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정기적인 세정(Cleaning)챔버 클리닝이 필수적입니다.

  • 삼불화질소 (): CVD 챔버 내부에 증착된 잔류물(예: 실리콘 질화막, 폴리실리콘 등)을 플라즈마 방식으로 제거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스입니다. 강력한 세정력을 자랑합니다.
  • 염화수소 (): 웨이퍼 세정 및 챔버 클리닝에 사용되며, 특히 금속 불순물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 불소 (): 와 유사하게 챔버 클리닝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 산소 (): 유기물 오염 제거를 위한 플라즈마 클리닝에 사용됩니다.

5. 캐리어 및 퍼지 가스: 공정 환경을 제어하고 보호하다

반도체 제조 환경은 특정 화학 반응이 일어나도록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합니다. 이때 불활성 가스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질소 ():
    • 퍼지(Purge) 가스: 공정 챔버 내부의 산소나 수분 등 불필요한 기체를 밀어내고,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청정한 환경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 캐리어(Carrier) 가스: 다른 반응성 가스들을 운반하여 공정 챔버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분위기 가스: 산화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공정 환경을 조성합니다.
  • 아르곤 ():
    • 플라즈마 발생: 스퍼터링, 이온 주입 등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안정적인 플라즈마 환경을 조성합니다.
    • 퍼지 가스: 질소와 유사하게 불활성 분위기 조성에 사용됩니다.
  • 헬륨 (): 열전도율이 높아 챔버 내 열 방출을 돕거나, 미세한 누출 감지에 사용됩니다.

6. 기타 특수 가스: 미세 공정의 다양한 필요 충족

  • 수소 (): 환원 분위기 조성, 박막 증착 시 반응 가스, 클리닝 가스 등으로 사용됩니다.
  • 레이저 가스: 엑시머 레이저 노광 공정에서 , (아르곤-불소 혼합), (크립톤-불소 혼합) 등의 가스가 사용됩니다.

반도체 가스의 중요성과 미래

반도체용 가스는 단순히 화학 물질이 아니라, 99.9999% (6N) 이상의 초고순도를 요구하는 매우 정밀한 재료입니다. 미량의 불순물이라도 반도체 소자의 성능 저하, 수율 감소, 심지어는 치명적인 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미세화가 가속화되고 3D NAND와 같은 복잡한 구조가 도입되면서, 반도체 가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새로운 소재와 공정 기술 개발에 맞춰 다양한 특수 가스의 개발 및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가스 기술의 발전은 더 작고, 빠르고, 효율적인 반도체 칩을 만드는 데 기여하며 미래 기술 혁신을 이끌어갈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