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38

고압가스 시설의 중간검사 및 완성검사 대상, 필요자료, 업무절차 정리 고압가스 검사 대상 - 고압가스의 허가, 신고, 등록을 한 자 검사종류 - 기술검토 (한국가스안전공사 지역본부) 시청에서 변경허가 절차 전에 기술검토를 받아야 하는데 시청은 변경허가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을 잘 모르기 때문에 한국가스안전공사(KGS)의 기술적 검토를 받아야 한다. 기술검토가 필요 없는 경우 : 회사명의 변경 및 설비의 단순 위치변경 등 - 변경허가 (관할 시청) 고압가스 시설 인허가 절차는 관할 시청을 통해 진행된다. 필요자료 : 고압가스 시설 변경허가 신청서, KGS에서 승인된 기술검토서, 기존 고압가스 시설 허가증, 변경에 대한 사업 설명 자료 변경 허가가 승인되면 공사를 시작할 수 있다. - 중간검사 (KGS) 계획한 변경 허가대로 변경을 진행하였는지 확인하는 중간 과정으로 공사 마무.. 2023. 9. 26.
가스시설 시공관리 제도 1. 건설업(가스시설 시공업) 등록과 업무 가스시설 시공관리를 위해 건설산업기본법에서는 가스시설 시공업의 건설업 등록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건설업의 업종 및 업무 내용 등에 따라 전문공사를 하는 업종 중 가스시설의 설치는 가스시설 시공업에 해당하며, 가스시설 시공 규모에 따라 가스시설 시공업 제1종, 제2종, 제3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건설산업 기본법 시행령 제7조) ◆ 가스시설시공업 업종별 업무범위 (건설산업 기본법 시행령 별표 1) 건설업종 업무분야 업무내용 기계가스설비 공사업 가스시설 공사 (제1종) - 가스시설공사 제2종 및 제3종의 업무내용 - 도시가스공급시설의 설치 및 변경공사 - 액화 석유가스의 충전시설, 집단공급시설, 저장소시설의 설치 및 변경공사 - 도시가스시설 중 특정가스사용시.. 2022. 9. 15.
가스 연습문제 풀이 모음 발화 이론 1. 자연발화란? - 발화는 발열이 크거나 발열이 적더라도 방열이 더 적으면 발생할 수 있으며 발화의 종류는 자연발화와 열면발화로 나눈다. 자연발화는 발열과 방열의 관점에서 볼 때 발열은 적지만 방열이 더 적은 경우로 가연물이 서서히 산화되어 축적된 열에 의해 발생한다. 2. 자연발화의 종류 및 원인 - 산화열에 의한 발화 : 건성유, 원면, 석탄, 금속분, 고무분말, 기름걸레 등 - 분해열에 의한 발화 : 셀룰로이드, 니트로화합물, 아세틸렌 등 - 흡착열에 의한 발화 : 활성탄 목탄 등 - 중합열에 의한 발화 : 액화 시안화수소 등 - 발효열에 의한 발화 : 퇴비, 건초, 곡물, 먼지 등 3. 자연발화 예방대책 - 가연성 물질 제거 - 저장실 습도, 온도 낮게 유지 - 저장실 통풍 및 환기 .. 2022. 9. 8.
가스용기의 종류 및 규격 1. 용기의 종류 1) 이음새 없는 용기 (Seamless gas cylinder) T.P,250kg/㎠, at 35℃, 용접한 용기로써 LPG, 용해 아세틸렌, 산화에틸렌, 액화 플루오르화 가스 등의 저압 가스용으로 계목 용기 또는 저압 용기라고 부른다. 2) 저온용기 이산화탄소(탄소가스)등을 저온으로 수송하기 위한 용기 (Cartridge) 3) 초저온용기 액체질소, 액체산소, 액체아르곤, 액체수소 등 초저온 액체가스용 4) 기타 탱크로리, 카들(Cardle), 카드리지(Cartridge, Large Gas Cylinders, 용량 50-600㎥)등 2. 용기의 규격 용기의 규격은 가스의 종류별로 또한 각 국가별 표준에 의하여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특수가스(혼합가스)에 주로 사용하는 용기의 크기에 대.. 2022. 9.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