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38

가스설비의 안전관리(배관 및 가스 사용시설) 가스배관에서 가스가 누출되면 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화재와 폭발, 질식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배관의 보존상태 및 부속설비 유지관리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1. 배관설비의 안전관리 (1) 안전점검 ■ 정기점검 정기점검에는 모든 시설이 대상이 되어야 하며, 최소한 주, 월, 분기 등 지정된 날짜에 실시되어야 한다. ■ 수시점검 정기점검이외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 행하는 것으로 수시로 실시하며, 불안전한 요소를 사전에 발견, 제거하는 것이다. ■ 임시점검 일시적인 위험이나 정기점검 시에 밝혀지지 않은 위험성을 발견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시설의 특정개소를 조사할 때 주로 실시한다. ■ 특별점검 안전운동 등이 전개되는 가스안전 강조기간 등에 설시하거나, 또는 사고 후에 사고와 관련된 제반요소를 재.. 2022. 8. 29.
반도체 제조 공정과 특수가스의 역할 1. 반도체 제조 공정과 특수가스의 역할 일반적으로 특수가스라 함은 산소, 질소, 아르곤, 탄산, 수소 등 보통의 산업용 가스와 달리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의미하는데 반도체용 가스, 표준가스, 희귀 가스, 고순도 및 초고순도 가스, 혼합가스 등이 특수가스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러한 특수가스는 혼합비율에 따라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종을 만들어낼 수 있는 혼합가스를 제외시킨다 해도 어느 정도 표준화되어 있는 제품만 3백 여종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특수가스 중에서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산업용 가스 업계로부터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가스는 역시 반도체용 특수가스이다. 가격 측면에선 단연 정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수요와 공급에 한계가 있는 제논, 크립톤, 헬륨 등 희귀 가스들과 달리 .. 2022. 8. 26.
특수가스 취급기술 및 유지관리 실무 (5) 반도체 및 첨단산업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독성가스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환경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독설비 기준에 대해서 규정한다. 6. 독성가스 제독설비 6-1. 제독설비 일반사항 ■ 독성가스는 제독설비에 의해 처리하여 허용농도 이하로 대기 방출하여야 한다. ■ 제조 및 사용시설의 경우 제독을 대상으로 하는 각 설비에 가능한 가깝게 설치하며 독성가스를 직접 처리하여야 한다. ■ 저장시설 및 판매시설은 용기 보관실과 가능한 가깝게 설치하고, 독성가스를 직접 처리하여야 한다. ■ 제독 방법은 산화, 환원, 중화, 가수분해, 흡수, 흡착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그 밖의 동등 이상의 방법에 의해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6-2. 제독방법의 선정 (1) 제독방법 제독해야 하는 가스의 종류, 농도,.. 2022. 8. 26.
특수가스 취급기술 및 유지관리 실무 (4) 5. 특수가스 저장 및 공급시설의 안전관리 5-1. 실린더 캐비닛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하는 위험성이 높은 가스가 충전된 실린더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일정 압력 및 일정량의 가스를 가스분배장치에서 주된 장비까지 공급하여 주며 비상시 자동차단, 배기가 되도록 구성된 갓의 안전공급 장비이다. 제조공정상 가스 누설의 확률이 가장 높은 작업은 용기의 연결, 분리에 따른 작업 시라고 생각되며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별히 용기 수납 상자를 사용하고 있다. 주로 강판재로 안을 볼 수 있도록 유리 등으로 만들어진 상자 안에는 누설 검지 경보기의 검지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가스의 누설 시에는 경보를 울려주며 가스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기능도 있고, 또한 용기의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구 등도 갖추어져 있다.. 2022. 8.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