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가스의 특징 예상문제
26. 질소의 용도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암모니아 합성원료
2) 냉매
3) 개미산 제조
4) 치환용 가스
해설 : 질소의 용도
- 암모니아 합성용 가스로 사용
- 치환용 가스로 사용
- 액체 질소의 경우 급속 냉동에 사용
- 액화 천연가스 제조장치의 냉매가스로 사용
27. 주기율표 0족에 속하는 불활성 가스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상온에서 기체이며, 단원자 분자이다.
2) 다른 원소와 잘 화합한다.
3) 상온에서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이다.
4) 방전관에 넣어 방전시키면 특유의 색을 낸다.
해설 : 주기율표 0족에 속하는 불활성기체는 다른 원소와 반응하지 않는다.
28. 희가스의 성질 중 맞지 않는 항목은?
1) 상온에서 무색, 무미, 무취이다.
2) 원자가는 8이고, 불안정한 모습이다.
3) 방전관 중에서 특이한 스펙트럼을 발한다.
4) 단원자 분자이므로 분자량과 원자량이 같다.
해설 : 희가스는 주기율표 0족에 속하는 것으로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안정된 물질이다.
29. 낮은 압력에서 방전시킬 때 붉은색을 방출하는 비활성 기체는?
1) He
2) Kr
3) Ar
4) Xe
해설 : 희가스류 발광색
30. 주기율표 0족에 속하는 희가스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비등점이 낮다
2) Rn은 용접 시 공기와의 접촉을 막는 보호용 가스로 사용한다.
3) He은 캐리어가스 및 부양용 가스로 사용한다.
4) Ar의 방전색은 적색, 크립톤의 방전색은 녹자색이다.
해설 : 2)항은 Ar가스의 용도 설명에 해당된다.
31. 다음 중 일산화탄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무색, 무취의 기체로 독성이 강하다.
2) 환원성이 강해 금속산화물을 환원시킨다.
3) 철족의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 카르보닐을 만든다.
4) 상온에서 염소와 반응하여 포스핀을 만든다.
해설: 상온에서 활성탄 촉매 하여 염소와 반응하여 포스겐을 만든다.
32. 고온, 고압 하에서 일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장치에 철재를 사용할 수 없는 주요 원인은?
1) 철 카르보닐을 만들기 때문에
2) 탈탄산 작용을 하기 때문에
3) 중합 부식을 일으키기 때문에
4) 가수분해하여 폭발하기 때문에
해설 : 일산화탄소의 성질
- 고온, 고압 하에서 철족의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 카르보닐을 생성한다.
33. 일산화탄소를 충전하는 용기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강재 내면에 Ag을 라이닝 한 것
2) 강재 내면에 Ni을 라이닝 한 것
3) 강재 내면에 Cu를 라이닝 한 것
4) 강재 내면에 Al을 라이닝 한 것
해설 : 일산화탄소는 철족의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 카르보닐을 생성하므로 강재 내면을 은, 구리, 알루미늄으로 라이닝 하여 사용한다.
34. 일산화탄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비금속의 산성 산화물이기 때문에 염기와 작용하여 염기물을 생성한다.
2) 공기보다 약간 가벼우므로 수상 치환으로 포집한다.
3) 개미산에 진한 황산을 작용시켜 만든다.
4)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과 반응하여 그 활동력을 저하시킨다.
해설 : 일산화탄소는 중성의 성질을 갖고 환원성이 강한 가스이다.
35. 일산화탄소와 공기의 혼합가스는 압력이 높아지면 폭발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1) 넓어진다.
2) 좁아진다.
3) 변화 없다.
4) 0.5 Mpa까지는 좁아지다가, 0.5 Mpa이상에서는 넓어진다.
해설: 대부분의 가연성 가스는 압력이 높아지면 폭발 범위가 넓어지나 수소와 일산화탄소는 압력이 높아지면 폭발 범위는 좁아진다.
36. 일산화탄소의 제법이다. 올바른 것은?
1) 수소가스 제조 시의 부산물로 제조된다.
2) 석유 또는 석탄을 가스화하여 얻을 수 있다.
3) 알코올 발효 시의 부산물이다.
4) 석회석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다.
해설 : 일산화탄소 제조법
- 실험적 제조법(의산에 진한 황산을 가하여 얻는다.)
- 공업적 제조법(석유, 석탄, 목탄, 코크스를 불완전 연소시켜 얻는다.)
37. 일산화탄소 가스의 용도로 알맞은 것은?
1) 메탄올 합성
2) 용접 절단용
3) 암모니아 합성
4) 섬유의 표백 작용
해설 : 일산화탄소의 용도
- 메탄올 합성에 사용
- 포스겐의 제조 원료에 사용
- 개미산이나 화학공업용 원료에 사용
- 공업적 원료, 환원제에 사용
38. 다음 중 이산화탄소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탄산수, 사이다 등의 청량제에 사용
2) 드라이아이스의 제조에 사용
3) 요소의 원료에 사용
4) 냉동장치의 냉매에 사용
해설 : 냉동장치 냉매로는 부적합하나, 물품 냉각용에 사용할 수 있다.
39. 다음 염소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1) 푸른색의 자극성이 심한 기체이다.
2) 대기압에서 -24도 이하로 냉각하면 쉽게 액화되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이다.
3) 화학적으로 활성이 강하나 탄소, 질소, 산소와는 화합하지 않는다.
4) 수분이 존재할 경우에는 염화암모늄을 생성하여 철을 부식시킨다.
해설 : 염소의 특징
- 황록색의 기체로 자극성이 강한 독성가스이다.
- 대기압에서의 비점이 -34.05도로 쉽게 액화할 수 있다.
- 수분 존재 시 염산을 생성하여 철을 심하게 부식시킨다.
40. 염소의 성질 중 적합한 것은?
1) 염소는 암모니아로 검출할 수 있다.
2) 염소는 물의 존재 없이 표백 작용을 한다.
3) 완전히 건조된 염소는 철과 잘 반응한다.
4) 염소 폭명기는 냉암소에서도 폭발하여 염화수소가 된다.
해설 : 염소의 성질
-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염화암모늄이 생성되면서 흰 연기가 발생한다.
- 염소는 물의 존재 하에서 표백 작용을 한다.
- 습기나 물에 접촉하면 염산을 생성하여 강재를 부식시킨다.
- 완전히 건조된 염소는 상온에서 철과 반응하지 않으므로 용기나 저장탱크의 재료는 탄소강을 사용한다.
- 염소 폭명기 : 직사광선이 촉매 역할
41. 염소는 몇 도 이상인 고온에서 철과 직접 반응하는가?
1) 30도
2) 80도
3) 100도
4) 120도
해설 : 염소는 120도 이상이 되면 철과 직접 반응하여 부식이 진행된다.
42. 액상의 염소가 피부가 닿았을 경우의 조치로써 옳은 것은?
1) 암모니아로 씻어낸다.
2) 이산화탄소로 씻어낸다.
3) 소금물로 씻어낸다.
4) 맑은 물로 씻어낸다.
해설 : 액상의 염소에 노출 시 응급조치
- 피부(맑은 물로 씻어낸다.)
- 눈(3% 붕산수로 씻어낸다.)
43. 염소의 성질과 고압장치에 대한 부식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1) 고온에서 염소 가스는 철과 직접 심하게 작용한다.
2) 염소는 압축가스 상태일 때 건조한 경우에는 심한 부식성을 나타낸다.
3) 염소는 습기를 띄면 강재에 대하여 심한 부식성을 가지고 용기, 밸브 등이 침해된다.
4) 염소는 물과 작용하여 염산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장치 재료로는 내산 도기, 유리, 염화비닐이 가장 우수하다.
해설 : 염소는 건조한 상태일 때는 부식성이 없으나, 수분이 존재하면 염산이 생성되어 강에 대하여 심한 부식성을 나타낸다.
44. 염소가스의 건조제로 사용되는 것은?
1) 진한 황산
2) 염화칼슘
3) 활성 알루미나
4) 진한 염산
해설 : 진한 황산 - 염소, 포스겐의 건조제
45. 염소의 제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산을 전기 분해한다.
2) 표백분에 진한 염산을 가한다.
3) 소금물을 전기분해한다.
4) 염화암모늄 용액에 소석회를 가한다.
해설 : 염소의 제조법
- 실험적 제조법
소금물의 전기분해
소금물에 진한 황산과 이산화망간을 가해 가열
표백분에 진한 염산을 가해 제조
염산에 이산화망간, 과망산칼륨등 산화제를 작용시켜 제조
- 공업적 제조법
수은법에 의한 식염의 전기분해
격막법에 의한 식염의 전기분해
염산의 전기분해
46. 염소의 용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돗물의 살균
2) 염화비닐의 원료
3) 섬유의 표백
4) 수소의 제조원료
해설 : 염소의 용도
- 염화수소, 염화비닐, 포스겐의 제조에 사용한다.
- 종이, 펄프공업, 알루미늄 공업 등에 사용한다.
- 수돗물의 살균에 사용한다.
- 섬유의 표백에 사용한다.
- 소독용으로 쓰인다.
47. 다음 기체 중 금속과 결합 하여 착이온을 만드는 것은?
1) CH4
2) CO2
3) NH3
4) O2
해설 : 암모니아는 구리, 아연, 은, 코발트 등의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착이온을 만든다.
48. 암모니아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상온, 상압에서 강한 자극성이 있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이다.
2) 가연성 가스이며 독성가스로 액화하기 어려운 기체이다.
3) 산이나 할로겐 원소와는 잘 반응하며 물에 잘 용해하는 가스이다.
4) 허용농도 25ppm으로 중화제는 물을 사용한다.
해설 : 비점이 -33.3도로 액화 및 기화가 쉽고, 증발 잠열이 커 냉동기 냉매로 사용된다.
49. 다음 중 암모니아의 특성과 관계가 먼 것은?
1) 물에 800배 용해된다.
2) 액화가 용이 하다.
3) 상온에서 안정하나 100도 이상이 되면 분해한다.
4) 할로겐과 반응하여 질소를 유리시킨다.
해설 : 상온에서 안정하나 1000도에서 분해하여 질소와 수소가 된다.
50. 암모니아의 완전연소 반응식을 옭게 나타낸 것은?
1) 2NH3 + 2O2 → N2O + 3H2O
2) 4NH3 + 3O2 → 2N2 + 6H2O
3) NH3 + 2O2 → HNO3 + H2O
4) 4NH3 + 5O2 → 4NO + 6H2O
51. 암모니아의 건조제로 사용되는 것은?
1) 진한 황산
2) 할로겐 화합물
3) 소다석회
4) 황산동 수용액
해설 : 암모니아 건조제 - 생석회
52. 암모니아 취급 시 피부에 닿았을 때 조치사항은?
1) 열습포로 감싸준다.
2) 다량의 물로 세척 후 붕산수를 바른다.
3) 산으로 중화시키고 붕대를 감는다.
4) 아연화 연고를 바른다.
해설 : 암모니아 노출 시 응급조치 방법
- 피부에 노출 시(물로 세척 후 2% 붕산수를 바른다.)
- 눈에 노출 시(물로 세척 후 붕산수로 씻고 의사의 처치를 받는다.)
53. 다음 중 암모니아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황산암모늄의 제조
2) 요소비료의 제조
3) 냉동기의 냉매
4) 금속 산화제
해설 : 암모니아의 용도
- 요소비료, 유안제조 원료
- 소다회, 질산 제조용 원료
- 냉동기 냉매로 사용
54. 다음 중 카바이드와 관련이 없는 성분은?
1) 아세틸렌
2) 석회석
3) 생석회
4) 연화칼슘
해설 : 아세틸렌 제조 원료 (석회석 → 생석회 → 카바이드 → 아세틸렌가스 생산)
55. 카바이드 저장 및 취급 시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기가 있는 곳은 피할 것
2) 보관 드럼통은 조심스럽게 취급할 것
3) 저장실은 밀폐구조로 바람의 경로가 없도록 할 것
4) 인화성, 가연성 물질과 혼합하여 적재하지 말 것
해설 : 카바이드 저장실은 통풍이 양호하게 하여야 한다.
'가스에 대해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4) (0) | 2022.08.09 |
---|---|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3) (0) | 2022.08.07 |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풀이 및 해설 - 1) (0) | 2022.08.06 |
가스기능장 준비 (6장 가스 발생설비의 구조 - 5) (0) | 2022.08.02 |
가스기능장 준비 (6장 가스 발생설비의 구조 -4) (0) | 2022.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