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가스의 특징 예상 문제
56. 아세틸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연소 시 고열을 얻을 수 있어 용접용으로 쓰인다.
2) 압축하면 폭발을 일으킨다.
3) 2중 결합을 가진 불포화 탄화수소이다.
4) 구리, 은과 반응하여 폭발성의 화합물을 만든다.
해설 : 아세틸렌은 3중 결합을 갖는다.
57. 아세틸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카바이드에 물을 넣어 제조한다.
2) 동과 접촉하여 동 아세틸드를 만드므로 동 함유량이 62% 이상을 설비로 사용한다.
3) 흡열 화합물이므로 압축하면 분해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4) 공기 중 폭발 범위는 약 2.5~80.5%이다.
해설 : 아세틸렌 시설에 동 및 동합금의 동 함유량이 62%를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
58. 아세틸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액체 아세틸렌은 비교적 안정하다.
2) 아세틸렌은 접촉적으로 수소화하면 에틸렌, 에탄이 된다.
3) 가열, 충격, 마찰 등의 원인으로 탄소와 수소로 자기분해 한다.
4) 동, 은, 수은 등의 금속과 화합 시 폭발성의 화합물인 아세틸드를 생성한다.
해설 : 액체 아세틸렌은 불안정하나, 고체 아세틸렌은 비교적 안정하다.
59. 아세틸렌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아세틸렌을 수소첨가반응시키면 벤젠이 얻어진다.
2) 비점과 융점의 차가 적으므로 고체 아세틸렌은 승화한다.
3)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아세톤에는 잘 녹는다.
4) 공기 중에서 연소시키면 3500도 이상의 고온을 얻을 수 있다.
해설 : 아세틸렌을 접촉적으로 수소화하면 에틸렌, 에탄이 된다.
60. 아세틸렌가스의 폭발과 관계없는 것은?
1) 중합폭발
2) 산화폭발
3) 분해폭발
4) 화합폭발
61. 순수 아세틸렌은 0.15 Mpa이상 압축 시 위험하다. 그 이유는?
1) 중합폭발
2) 분해폭발
3) 화합폭발
4) 촉매폭발
해설 : 아세틸렌은 0.15 Mpa 이상 압축하면 분해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62. 아세틸렌과 접촉 반응하여 폭발성 물질을 생성하지 않는 금속은?
1) 금
2) 은
3) 구리
4) 수은
해설 : 아세틸렌은 동, 은, 수은 등의 금속과 접촉 반응하여 폭발성의 아세틸드를 생성하는 화합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63. 아세틸렌가스 발생 방법 중 대량 생산에 적합한 방식은?
1) 투입식 반응
2) 고압식 반응
3) 주수식 반응
4) 축열식 반응
해설 : 아세틸렌 발생기의 종류
- 주수식 (카바이드에 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불순가스 발생량이 많다.)
- 침지식 ( 물과 카바이드를 소량씩 접촉하는 방식으로 위험성이 크다.)
- 투입식 ( 물에 카바이드를 넣는 방식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64. 아세틸렌 제조 시 청정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리가솔
2) 카라리솔
3) 에퓨렌
4) 진타론
해설 : 청정제의 종류 - 에퓨렌, 카다리솔, 리가솔
65. 아세틸렌 제조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건조기
2) 압축기
3) 가스 청정기
4) 정류기
66. 아세틸렌가스 용해 충전 시 다공질 물질의 재료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규조토, 석면
2) 알루미늄 분말, 활성탄
3) 석회, 산화철
4) 탄산마그네슘, 다공성 플라스틱
해설 : 다공물질의 종류 - 규조토, 석면, 목탄, 석회, 산화철, 탄산마그네슘, 다공성 플라스틱 등
67. 아세틸렌 충전 시 첨가하는 다공물질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2) 기계적인 강도가 클 것
3) 가스의 충전이 쉬울 것
4) 다공도가 적을 것
해설 : 다공물질의 구비조건
- 고다공도일 것
- 기계적 강도가 클 것
- 가스 충전이 쉬울 것
- 안전성이 있을 것
-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 경제적일 것
68. 다음 ( ) 안의 온도와 압력으로 맞는 것은?
1) 5, 1.0
2) 15, 1.5
3) 20, 1.0
4) 20, 1.5
해설 : 아세틸렌 충전용기 압력
- 충전 중의 압력 (온도와 관계없이 2.5 Mpa 이하)
- 충전 후의 압력 (15도에서 1.5 Mpa 이하)
69. 아세틸렌의 주된 제법으로 옳은 것은?
1)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고온(1200동~2000도)에서 열분해 시켜서 만든다.
2)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수증기 개질법에 의하여 만든다.
3)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부분 산화법에 의하여 만든다.
4)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연소시켜서 얻는다.
해설 : 아세틸렌 제조법
- 카바이드를 이용한 제조법 (카바이드와 물을 접촉시키면 아세틸렌이 발생한다.)
- 탄화수소에서 제조 (메탄, 나프타를 열분해 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70. 메탄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기보다 무거워 낮은 곳에 체류한다.
2) 비점은 약 -42도이다.
3) 공기 중 메탄가스가 3% 함유된 혼합기체에 점화하면 폭발한다.
4) 고온에서 니켈 촉매를 사용하여 수증기와 작용하면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한다.
71. 메탄가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무색, 무취의 기체이다.
2)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이다.
3) 천연가스의 주성분이다.
4) 폭발 범위는 약 5~15% 정도이다.
해설 : 메탄의 분자량이 16이므로 기체 비중은 0.55가 되므로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이다.
72. 메탄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염소와 반응시키면 염소 화합물을 만든다.
2) 무색, 무취의 기체로 잘 연소한다.
3) 무극성이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크다.
4) 고온에서 수증기 또는 산소를 반응시키면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한다.
해설 메탄의 성질
-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안정된 가스이다.
- 천연가스의 주성분이다.
- 무색, 무취, 무미의 가연성 기체이다.
- 유기물의 부패나 분해 시 발생한다.
- 메탄의 분자는 무극성이고, 수분자와 결합하는 성질이 없어 용해도는 적다.
- 공기 중에서 연소가 쉽고, 화염은 담청색의 빛을 발한다.
- 염소와 반응하면 염소화합물이 생성된다.
- 고온에서 니켈 촉매를 사용하여 산소, 수증기와 반응시키면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한다.
73.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의 공기 중 폭발 범위는?
1) 5~15%
2) 3.2~12.5%
3) 2.4~9.5%
4) 1.9~8.4%
해설 : 공기 중에서 메탄의 폭발 범위는 5~15%이다.
74. LNG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여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이 포함되어 있다.
2) LNG가 액화되면 체적이 1/600로 줄어든다.
3) 무독, 무공해의 청정가스로 발열량이 약 9500 kal/m3 정도로 높다.
4) LNG는 기체 상태에서는 공기보다 가벼우나 액체 상태에서는 물보다 무겁다.
해설 : LNG의 액비중은 0.415로 물보다 가볍다.
75. 액체는 무색투명하고 특유한 복숭아 향을 가지고 있으며 맹독성이 있고 고농도를 흡입하면 목숨을 잃는 기체는?
1) 일산화탄소
2) 포스겐
3) 시안화수소
4) 메탄
76. 시안화수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액체는 무색, 투명하며 복숭아 냄새가 난다.
2) 액체는 끊는 점이 낮아 휘발하기 쉽고, 물에 잘 용해되며 이 수용액은 약산성을 나타낸다.
3) 자체의 열로 인하여 오래된 시안화수소는 중합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충전한 후 60일이 경과되기 전에 다른 용기에 옮겨 충전하여야 한다.
4) 염화제일구리, 염화암모늄의 염산 산성용액 중에서 아세틸렌과 반응하여 메틸아민이 된다.
77. 시안화수소 가스를 장기간 저장하지 못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분해폭발하기 때문에
2) 중합폭발하기 때문에
3) 산화폭발하기 때문에
4) 촉매폭발하기 때문에
해설 : 시안화수소는 중합폭발의 위험성 때문에 60일 이상 저장하는 것을 금지한다.
78. 포스겐의 취급 사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스겐을 함유한 폐기액은 산성물질로 충분히 처리한 후 처분할 것
2) 취급 시에는 반드시 방독마스크를 착용할 것
3) 환기시설을 갖출 것
4) 누설 시 용기 부식의 원인이 되므로 약간의 누설에도 주의할 것
해설 : 포스겐은 산성이므로 알칼리성물질을 이용한다.
79. 산화철이나 산화알루미늄에 의해 중합반응을 생성하는 가스는?
1) 산화에틸렌
2) 시안화수소
3) 에틴렌
4) 아세틸렌
해설 : 산화에틸렌은 산, 알칼리,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등에 의하여 중합폭발한다.
80. 산화에틸렌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무색의 유독한 기체이다.
2) 알코올과 반응하여 글리콜에테르를 생성한다.
3)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에탄올아민을 생성한다.
4) 물, 아세톤, 사염화탄소 등에 불용이다.
해설 : 산화에틸렌은 물, 에테르, 알코올, 아세톤, 사염화탄소에 용해된다.
81. 산화에틸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폭발 범위는 약 3.0~80%이다.
2) 공업적 제조법으로는 에틸렌을 산소로 산화해서 합성한다.
3) 액체 상태에서 열이나 충격 등으로 폭약과 같이 폭발을 일으킨다.
4) 철, 주석, 알루미늄의 무수염화물, 산, 알칼리, 산화알루미늄 등에 의하여 중합 발열한다.
해설 : 액체 산화에틸렌은 연소하기 쉬우나 폭약과 같은 폭발은 하지 않는다.
82. 황화수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조된 상태에서 수은, 동과 같은 금속과 반응한다.
2) 고압에서는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다.
3) 독성이 강하고 고농도 가스를 다량으로 흡입할 경우 즉사한다.
4) 농질산, 발연질산 등의 산화제와는 심하게 반응한다.
해설 : 건조된 상태에서의 황화수소는 수은, 은, 동과 같은 금속과 반응하지 않고, 수분이 존재할 때 반응한다.
83. 특수가스의 하나인 실란의 주요 위험성은?
1) 공기 중에 누출되면 자연발화한다.
2) 태양광에 의해 쉽게 분해된다.
3) 분해 시 독성물질을 생성한다.
4) 상온에서 쉽게 분해된다.
해설 : 실란의 주요 특징
- 분자량이 32, 무색 불쾌한 냄새가 난다.
- 가연성 가스로 공기 중에서 자연 발화한다.
- 강력한 환원성을 갖는다.
- 물과 서서히 반응하며, 할로겐족과 반응한다.
- 가열하면 실리콘과 수소로 분해된다.
- 반도체 공정의 도핑액으로 사용한다.
84. 다음 가스에 대한 일반적인 성질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H2 : 고온, 저압 하에서 탄소강과 반응하여 수소취성을 일으킨다.
2) CL2 : 황록색의 자극성 냄새가 나는 맹독성 기체이다.
3) HCL : 암모니아와 접촉하면 흰 연기가 발생한다.
4) HCN : 복숭아 냄새가 나는 맹독성 기체로 쉽게 액화한다.
해설 : 수소취성은 고온, 고압 하에서 수소가 강재중의 탄소와 반응하여 메탄이 생성되어 강을 취화 하는 것이다.
85. 가스와 그 용도를 짝지은 것 중 틀린 것은?
1) 프레온 - 냉장고의 냉매
2) 이산화황 - 환원성 표백제
3) 시안화수소 - 아크릴로니트릴 제조
4) 에틸렌- 메탄올 합성원료
해설 : 에틸렌의 용도
- 합성수지, 합성섬유, 합성고무 제조용
- 폴리에틸렌 제조
- 아세트알데히드, 산화에틸렌, 에탄올 제조
'가스에 대해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5) (0) | 2022.08.10 |
---|---|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4) (0) | 2022.08.09 |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풀이 및 해설 - 2) (0) | 2022.08.07 |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풀이 및 해설 - 1) (0) | 2022.08.06 |
가스기능장 준비 (6장 가스 발생설비의 구조 - 5)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