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스에 대해 알아보자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4)

by 웃으며살자~야! 2022. 8. 9.
반응형

LPG 및 도시가스 예상 문제

1. LPG를 지상의 탱크로리에서 지상의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자연 충전방법

2) 차압에 의한 충전방법

3) 액펌프를 이용한 충전방법

4) 압축기를 이용한 충전방법

해설 : LPG의 이입, 충전하는 방법

- 차압에 의한 방법

- 액펌프에 의한 방법

- 압축기에 의한 방법

2. PL가스를 펌프로 이송할 때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충전시간이 길다.

2) 잔가스 회수가 불가능하다.

3) 부탄의 경우 저온에서 재액화 현상이 있다.

4) 베이퍼 로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해설 : 펌프 사용 시 특징

- 장점

재액화 현상이 없다.

드레인 현상이 없다.

- 단점

충전시간이 길다.

탱크로리 내의 잔가스 회수가 불가능하다.

베이퍼 로크 현상이 발생한다.

3. 압축기에 의한 LPG 이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펌프에 비해 충전시간이 길다.

2) 잔가스 회수가 가능하다.

3) 부탄의 경우에도 저온에서 재액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4) 바이퍼 로크 현상을 일으킨다.

해설: 압축기 사용 시 특징

- 장점

펌프에 비해 충전시간이 짧다.

잔가스 회수가 가능하다.

베이퍼 로크 현상이 없다.

- 단점

부탄의 경우 재액화 현상이 일어난다.

압축기 오일이 탱크에 유입되어 드레인의 원인이 된다.

4. 탱크로리 충전작업 중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탱크 상부로 충전 시

2) 과 충전 시

3) 누설 시

4) 안전밸브 작동 시

해설 : 충전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

- 과충전이 되는 경우 또는 안전밸브가 작동되는 경우

- 충전작업 중 주변에서 화재 발생 시

- 탱크로리와 저장탱크를 연결한 호스 등에서 누설이 되는 경우

- 펌프 사용 시 액 배관 내에서 베이퍼 로크가 심한 경우

5. LP가스를 용기에 의해 수송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기 자체가 저장설비로 이용될 수 있다.

2) 소량 수송의 경우 편리한 점이 많다.

3) 취급 부주의로 인한 사고의 위험 등이 수반된다.

4) 용기의 내용적을 모두 채울 수 있어 가스의 누설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해설 : 용기에 안전공간을 확보하여 액 팽창에 의한 용기 파열을 방지하여야 한다.

6. 기동성이 있어 장, 단거리 어느 쪽에도 적합하고 용기에 비해 다량 수송이 가능한 방법은?

1) 용기에 의한 방법

2) 탱크로리에 의한 방법

3) 철도차량에 의한 방법

4) 유조선에 의한 방법

해설:탱크로리에 의한 수송 특징

- 기동성이 있어 장, 단거리 어느 쪽에도 적합하다.

- 철도 전용선과 같은 특별한 설비가 필요하지 않는다.

- 용기에 비해 다량 수송이 가능하다.

- 차량에 탱크가 부설되어야 한다.

7. LPG 공급방식 중 공기 혼합가스 공급방식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발열량의 조절

2) 누설 시의 손실 감소

3) 연소효율 증대

4) 재기화 현상 방지

해설 : 공기 혼합가스 공급방식의 목적

- 발열량 조절

- 재액화 방지

- 누설 시 손실 감소

- 연소효율 증대

8. LP가스 용기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사용 중에 견딜 수 있는 연성, 인장강도가 있을 것

2) 충분한 내식성, 내마모성이 있을 것

3) 완성된 용기는 균열, 뒤틀림, 찌그러짐 기타 해로운 결함이 없을 것

4) 중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질 것

해설 : 가볍고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9. 액화석유가스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조정기는 어떤 일을 하는가?

1) 유출압력을 조정한다.

2) 유속을 조정한다.

3) 유량을 조정한다.

4) 밀도를 조정한다.

해설 : 조정기의 역할 : 유출압력조절로 안정된 연소를 도모하고, 소비가 중단되면 가스를 차단한다.

10. 기화기를 구성하는 주요 설비가 아닌 것은?

1) 열교환기

2) 액 유출 방지장치

3) 열매 이송장치

4) 열매 온도 제어장치

해설 : 기화기 구성 주요 설비

- 열교환기

- 액유출 방지장치

- 열매 온도 제어장치

- 열매 과열 방지장치

- 압력 조정기

- 안전밸브

11. 기화장치 중 LP가스가 액체 상태로 열교환기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는?

1) 압력 조정기

2) 안전밸브

3) 액면 제어장치

4) 열매 온도 제어장치

12. 가스관(강관)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구리관보다 강도가 높고 충격에 강하다.

2) 관의 치수가 큰 경우 구리관보다 비경제적이다.

3) 관의 접합 작업이 용이하다.

4) 연관이나 주철관에 비해 가볍다.

해설 : 구리관보다 가격이 저렴하므로 경제적이다.

13. 강관의 스케줄 번호가 의미하는 것은?

1) 파이프의 길이

2) 파이프의 바깥지름

3) 파이프의 무게

4) 파이프의 두께

14.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의 KS 규격 기호는?

1) SPPH

2) SPHT

3) SPLT

4) SPPW

해설 : 배관용 강관의 KS 기호

15. 폴리에틸렌관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상온에서 유연성이 풍부하다.

2) 인장강도가 적다.

3) 내열성과 보온성이 나쁘다.

4) 염화 비닐관에 비해 가볍다.

해설 : 폴리에틸렌관의 특징

- 염화 비닐관보다 가볍다.

- 염화비닐관보다 화학적,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다.

- 내한성이 좋아 한랭지 배관에 알맞다.

- 염화 비닐관에 비해 인장강도가 1/5 정도로 작다.

- 화기에 극히 약하다.

- 유연해서 관면에 외상을 받기 쉽다.

- 장시간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노화된다.

16. 가스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융착이음 접합 방법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맞대기 융착

2) 소켓 융착

3) 이음매 융착

4) 새들 융착

17. 도시가스 지하매설 배관으로 사용되는 배관은?
1) 폴리에틸렌 피복강관

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3) 연료가스 배관용 탄소강관

4)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관

해설 : 도시가스 지하 매설관 종류

- 폴리에틸렌 피복강관

- 분말 융착식 폴리에틸렌 피복강관

- 가스용 폴리에틸렌관

18. 배관 내의 마찰저항에 의한 압력손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체의 점도가 클수록 커진다.

2) 관 길이에 반비례한다.

3) 관 안지름의 5승에 반비례한다.

4) 유속의 2승에 비례한다.

19. 배관의 수직 상향에 의한 압력손실을 계산하려고 할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1) 입상 높이, 가스 비중

2) 가스 유량, 가스 비중

3) 가스 유량, 입상 높이

4) 관 길이, 입상 높이

해설 : 입상관에 의한 압력 손실 계산식 H=1.293(S-1)h

- H : 가스의 압력손실

- S : 가스의 비중

- h : 입상 높이

20. 압력손실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상배관에 의한 손실

2) 관 부속품에 의한 손실

3) 관 길이에 의한 손실

4) 관 두께에 의한 손실

해설 : 가스관에서 압력손실 원인

- 입상배관에 의한 손실

- 관 부속품에 의한 손실

- 관 길이에 의한 손실

- 가스 유량에 의한 손실

- 가스 비중에 의한 손실

- 관 안 지름에 의한 손실

21. 배관 지름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최대 가스 소비량

2) 최대 가스 발열량

3) 허용 압력손실

4) 배관 길이, 가스 종류

22. 가스배관의 배관 경로의 결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한 최단거리로 할 것

2) 구부러지거나 오르내림을 적게 할 것

3) 가능한 한 은폐하거나 매설할 것

4) 가능한 한 옥외에 설치할 것

해설: 가스배관 경로 선정 4요소

- 최단 거리로 할 것

- 구부러지거나 오르내림을 적게 할 것

- 은폐하거나 매설을 피할 것

- 가능한 한 옥외에 설치할 것

23. 배관의 진동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왕복 압축기의 맥동류

2) 직관 내의 압력강하

3) 안전밸브 작동

4) 지진

해설 : 배관 진동의 원인

- 펌프, 압축기에 의한 영향

- 유체의 압력 변화에 의한 영향

- 안전밸브 작동에 의한 영향

- 관의 굴곡에 의해 생기는 힘의 영향

-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영향

24. 급배기 방식에 따른 연소기구 중 실내에서 연소용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방출하는 방식은?

1) 개방형

2) 옥외 방출형

3) 밀폐형

4) 반밀폐형

해설 : 급배기 방식에 따른 연소기구의 형식

25. 연소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염공이 적게 되었을 때

2) 가스의 압력이 너무 낮을 때

3) 콕이 충분히 열리지 않았을 때

4) 버너 위에 큰 용기를 올려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해설 : 역화의 원인

- 염공이 크게 되었을 때

- 노즐 구멍이 너무 크게 된 경우

- 콕이 충분히 개방되지 않은 경우

- 가스의 공급압력이 저하되었을 때

- 버너 위에 큰 용기를 올려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