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스에 대해 알아보자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5)

by 웃으며살자~야! 2022. 8. 10.
반응형

LPG 및 도시가스 예상문제

26. LP가스가 불완전 연소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 공급량 부족 시

2) 가스의 조성이 맞지 않을 때

3) 가스기구 및 연소기구가 맞지 않을 때

4) 산소 공급이 과잉될 때

해설 : LP가스의 불완전 연소 원인

- 공기 공급량 부족

- 배기 불충분

- 환기 불충분

- 가스 조성의 불량

- 연소기구의 부적합

- 프레임의 냉각

27. 가스버너의 일반적인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염이 안정될 것

2) 부하조절비가 적을 것

3) 저공기비로 완전히 연소할 것

4) 제어하기 쉬울 것

해설 : 연소기구가 갖추어야 할 조건

- 가스를 완전연소 시킬 수 있을 것

- 연소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 취급이 쉽고 안정성이 높을 것

- 부하에 따른 조절비가 클 것

28. 도시가스 공급방식에서 수송할 가스양이 많고 원거리 이동 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1) 저압공급

2) 중앙공급

3) 고압공급

4) 초고압공급

해설 : 공급압력에 의한 도시가스의 분류

- 저압공급 방식 : 0.1Mpa 미만

- 중앙공급 방식 : 0.1~1Mpa 미만

-고압공급 방식 : 1Mpa 이상

29. LNG 기화기 중 해수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므로 해수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입지 조건을 필요로 하는 기화기는?

1) 서브머지드 기화기

2) 오픈 랙 기화기

3) 전기가열식 기화기

4) 온수가열식 기화기

해설 : LNG 기화장치의 종류

- 오픈 랙 기화법

베이스로드용으로 바닷물을 열원으로 사용하므로 초기 시설비가 많으나 운전비용이 저렴하다.

- 중간 매체법

베이스로드용으로 프로판, 펜탄 등을 사용한다.

- 서브머지드법

피크로드용으로 액중 버너를 사용한다. 초기 시설비가 적으나 운전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30. 가스제조소에서 정제된 가스를 저장하여 가스의 질을 균일하게 유지하며, 제조량과 수요량을 조절하는 것은?

1) 정압기

2) 압송기

3) 배송기

4) 가스홀더

해설 : 가스홀더의 기능

- 가스 수요의 시간적 변동에 대하여 공급 가스양을 확보한다.

- 공급설비의 일시적 중단에 대하여 어느 정도 공급량을 확보한다.

- 공급가스의 성분, 열량, 연소성 등의 성질을 균일화 한다.

- 소비지역 근처에 설치하여 피크시의 공급, 수송 효과를 얻는다.

31. 유수식 가스홀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다량의 물을 필요로 한다.

2) 유효 가동량이 구형 가스홀더에 비해 크다.

3) 한랭지에서 물의 동결 방지가 필요하며 압력이 가스탱크의 양에 따라 변한다.

4) 가스압력이 일정하며, 건조한 상태로 가스가 저장된다.

해설 : 가스가 건조하면 물탱크의 수분을 흡수하여, 압력이 탱크의 수에 따라 변동한다.

32.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외통과 그 내벽을 상하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편판상의 피스톤 및 바닥판, 지붕판으로 구성된 가스홀더는?

1) 고압식 가스홀더

2) 무수식 가스홀더

3) 유수식 가스홀더

4) 구형 가스홀더

해설 : 무수식 가스홀더의 구조

- 실린더 상의 외통과 그 내면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 및 바닥판, 지붕판으로 구성되며 가스는 피스톤의 아래에 저장되고 가스양의 증감에 따라 피스톤이 상하로 움직인다.

33. 구형 가스홀더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표면적이 작아 다른 가스 홀더에 비해 사용 강재량이 적다.

2) 부지면적과 기초 공사량이 적다.

3) 가스 송출에 가스 홀더 자체 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4) 가스에 습기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해설 : 구형 가스홀더는 가스를 건조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34. 1차 압력 및 부하 유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2차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기능의 가스공급 설비는?

1) 가스홀더

2) 압송기

3) 정압기

4) 안전장치

해설 : 정압기의 기능

- 감압 기능

도시가스 압력을 사용처에 맞게 낮추는 기능

- 정압 기능

2차 측의 압력을 허용범위 내의 압력으로 유지하는 기능

- 폐쇄 기능

가스의 흐름이 없을 때는 밸브를 완전히 폐쇄하여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기능

35. 정압기의 기본 구성품 중 2차 압력을 감지하고, 변동사항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스프링

2) 메인밸브

3) 다이어프램

4) 공기구멍

36. 정압기를 평가, 선정할 경우 고려해야 할 특성이 아닌 것은?

1) 정특성

2) 동특성

3) 유량 특성

4) 압력 특성

해설 : 정압기의 특성

- 정특성

유량과 2차 압력의 관계

- 동특성

부하 변화가 큰 곳에 사용되는 정압기에서 부하 변동에 대한 응답의 신속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특성

- 유량 특성

메인밸브의 열림과 유량의 관계

- 사용 최대 차압

메인밸브에 1차와 2차 압력이 작용하여 최대로 되었을 때의 차압

- 작동 최소 차압

정압기가 작동할 수 있는 최소 차압

37. 정압기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정특성은 정상상태에서의 유량과 2차 압력과의 관계를 말한다.

2) 동특성은 부하 변동에 대한 응답의 신속성과 안정성이 요구된다.

3) 유량 특성은 메인밸브의 열람과 점도와의 관계를 말한다.

4) 사용 최대 차압은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최대로 되었을 때의 차압을 말한다.

해설 : 유량 특성

- 메인밸브의 열림과 유량과의 관계

38. 언로딩형과 로딩형이 있으며 대용량이 요구되고 유량제어 범위가 넓은 경우에 적합한 정압기는?

1) 피셔식 정압기

2) 레이놀즈 정압기

3) 파일럿식 정압기

4) 엑셜플로식 정압기

해설 : 파일럿식 정압기

- 직동식의 본체 및 파일럿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로딩형과 로딩형으로 구분된다. 대용량이 요구되고 유량제어 범위가 넓은 경우에 적합하다.

39. 정압기의 구조에 따른 분류 중 일반 소비기기용이나 지구 정압기에 널리 사용되고 사용압력은 중압용이며, 구조와 기능이 우수하고 정특성은 좋지만 안정성이 부족하고 크기가 대형인 정압기는?

1) 레이놀즈식 정압기

2) 피셔식 정압기

3) AFV 식 정압기

4) 루트식 정압기

해설 : 레이놀즈식 정압기의 특성

- 언로딩형이다.

- 정특성은 극히 좋으나 안정성이 부족하다.

- 다른 것에 비해 크다.

40. 정압기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출구에는 수분 및 불순물 제거장치를 설치한다.

2) 출구에는 가스압력 측정장치를 설치한다.

3) 입구에는 가스차단 장치를 설치한다.

4) 정압기의 분해점검 및 고장을 대비하여 예비 정압기를 설치한다.

해설 : 정압기의 입구에 수분 및 불순물 제거장치를 설치한다.

41. 피셔식 정압기의 2 차압 이상 상승의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정압기의 능력 부족

2) 필터의 먼지류 막힘

3) PSV에서의 누설

4) 파일럿 오리피스의 녹 막힘

해설 : 피셔식 정압기의 2차압 이상 상승 원인

- 메인밸브에 먼지류가 끼어들어 완전 차단 불량

- 메인밸브의 폐쇄 무

- 파일럿 공급밸브에서의 누설

- 센터스템과 메인밸브의 접속 불량

- 바이패스 밸브의 누설

- 가스 중 수분의 동결

42. 정압기의 승압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설비가 아닌 것은?

1) 2차 압력 감시장치

2) 저압배관의 loop화

3) 2차 측에 가용전식 안전밸브 설치

4) 저압 홀더로 되돌림

해설 : 정압기의 이상 승압을 방지하는 설비

- 저압 홀더로 되돌림

- 저압 배관의 loop화

- 2차측에 가용전식 안전밸브 설치

- 정압기를 병렬로 설치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