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 발생설비의 구조 예상문제
18. 냉각탑에 관한 기술 중 맞는 것은?
1) 냉동기의 냉각수가 흡수한 열을 외기에 방사하고 온도가 내려간 물을 재순환시키는 장치이다.
2) 오염된 공기를 깨끗하게 하며 동시에 공기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3) 찬 우물물을 냉각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4) 냉매를 통과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해설 : 냉각탑
- 수냉식 냉동기에 사용하는 것으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장치
19. 응축기에서 고압이 상상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불응축가스 혼입 시
2) 냉각수량이 증가하였을 때
3) 응축기 표면에 유막, 물때가 있는 경우
4) 냉각수량이 감소하였을 때
20. 교축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엔탈피가 증가한다.
2)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3) 압력이 감소한다.
4) 난류현상이 일어난다.
해설 : 교축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
- 엔탈피가 일정한 등엔탈피 변화과정이다.
- 압력과 속도가 감소한다.
- 유체의 마찰 및 외류 등에 의하여 난류현상이 발생한다.
-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21. 팽창밸브에서 냉매 액이 팽창할 때 냉매 변화에 관한 사항 중 옳은 것은?
1) 압력과 온도는 내려가나 엔탈피는 변화가 없다.
2) 압력은 내려가나 온도와 엔탈피는 변화가 없다.
3) 온도는 변화하지 않으나 압력과 엔탈피는 감소한다.
4) 엔탈피만 감소하고 압력과 온도는 변화 없다.
해설 : 팽창밸브에서는 단열팽창과정이므로 엔탈피 변화가 없다.
22. 팽창밸브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관계가 없는 것은?
1) 증발기 종류
2) 냉동능력
3) 사용 냉매의 종류
4) 응축 압력
해설 : 팽창 밸브 선정 시 고려사항
- 증발기의 종류 및 크기
- 냉동능력
- 사용 냉매의 종류
- 사용조건
23. 온도식 자동팽창밸브의 감온 통 설치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트랩을 피한 곳이면 반드시 흡입관 상부에 부착해야 한다.
2) 밸브 본체보다 온도가 낮은 곳에 설치한다.
3) 액가스 열교환기가 있을 때는 증발기 측의 흡입관에 설치한다.
4) 외부 균압관과 함께 설치할 때는 균압관 앞 증발기 측 흡입관 상부에 부착한다.
해설 : 온도식 자동 팽창밸브의 감온 통은 트랩 부분을 피해 흡입관 수평 부분에 설치한다.
24. 정상정으로 운전되고 있는 냉동장치의 증발기에서 냉매 상태의 변화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증기는 건조도가 감소한다.
2) 증기의 건조도가 증대한다.
3) 포화액이 과냉각으로 된다.
4) 과냉각액이 포화액으로 된다.
해설 : 냉매는 증발기에서 피 냉각체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가 건조 포화 증기가 되므로 건조도가 증가한다.
25. 냉동장치가 운정 중 증발기에서 냉각이 불량해졌다. 그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팽창밸브가 막히거나 수분 침입 시
2) 냉매 과충전 시
3) 불응축 가스 침입 시
4) 윤활 불량
해설 :증발기 냉각 불량 원인
- 증발기에 유막, 적상 과대 시
- 냉매 부족 시
- 팽창밸브 개도치 과소
26. 냉동장치의 점검, 수리 등을 위하여 냉매 계통을 개방하고자 할 때는 펌프 다운을 하여 계통 내의 냉매를 어디에 회수하는가?
1) 수액기
2) 압축기
3) 증발기
4) 유분리기
해설 : 수액기 -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액을 팽창밸브로 보내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탱크이다.
27. 지름이 서로 다른 수액기를 2대 이상 설치할 경우 가장 옳은 방법은?
1) 상단을 일치시켜야 한다.
2) 하단을 이치 시키는 것이 좋다.
3)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이 좋다.
4) 어느 쪽이든 관계없다.
해설 : 수액기 상부를 일치시켜야 수액기가 외부로부터 열을 받아도 안전공간이 확보되므로 안전하다.
28. 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냉매액을 재차 수액기로 회수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액 회수장치
2) 냉매기
3) 수액기
4) 유회수장치
29. 냉매배관의 부속기기 중 건조기의 설치 위치로서 적당한 곳은?
1) 수액기와 팽창밸브에 이르는 액 배관 도중에 설치
2)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3) 증발기와 팽창밸브 사이
4) 압축기 다음의 유분리기 출구에 설치
해설 : 건조기
- 냉동장치에 수분이 존재하면 장치 각 부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 액 배관에 설치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30. 냉동장치에서 가스퍼저를 설치할 경우 불응축 가스 인출관의 위치로 적당한 것은?
1) 응축기와 수액기의 균압관
2) 응축기와 수액기의 액관
3) 수액기와 팽창밸브의 액관
4) 응축기 직전의 토출관
해설 : 불응축 가스는 주로 응축기와 수액기 상부에 모인다.
31. 냉동장치의 배관 시공 시 주의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완전 기밀이며 충분한 내압강도를 가질 것
2) 기기 상호 간의 배관 길이는 되도록 길게 할 것
3) 관의 자중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고정구 및 지지구를 사용할 것
4) 사용한 재료는 각각의 용도, 냉매의 종류, 온도에 따라서 선택된 것일 것
해설 : 기기 상호간의 배관길이는 되도록 짧게 하여야 한다.
32. 암모니아의 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액백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 배관 도중에 액 분리기를 설치한다.
2) 냉매액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액 배관 도중에 건조제를 넣는다.
3) 배관재료로는 이음매 없는 동관을 사용한다.
4) 액 배관의 전후에 스톱 밸브를 폐쇄하여도 위험하지 않다.
해설 : 암모니아 냉동장치에는 부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동 및 동합금을 사용할 수 없고, 액 배관에 설치된 스톱 밸브를 폐쇄하면 액봉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33. 냉동장치 중 플렉시블 튜브 설치 위치가 알맞은 것은?
1) 팽창밸브 직전 및 직후
2) 응축기와 수액기 사이의 배관
3) 압축기 흡입 토출 배관
4) 증발기 내의 배관
해설 : 플렉시블 튜브
- 압축기 흡입, 토출배관에 설치하여 진동 및 신축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34. 냉동장치의 배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발기에서 액 분리기까지는 하향 구배로 하고, 액 분리기에서 압축기까지는 상향 구배로 한다.
2) 기기 상호 간의 배관 길이는 짧게 하고 배관 굴곡부는 되도록 적게 하며 경사도를 적게 할 것
3) 암모니아 배관에는 강관이 사용되나 그 두께를 결정하는 데는 부식에 대한 안전율을 감안해야 한다.
4) 압축기에서 수직 상승된 토출관의 수평 부분은 응축기 쪽으로 하향 구배를 할 것
해설 : 액 분리기는 증발기보다 반드시 상부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사향 구배로 하여야 한다.
35. 냉동기 운전 준비 점검사항 중 틀린 것은?
1) 응축기 유막형성 및 수량, 청결상태 확인
2) 압축기 물주머니, 응축기 냉각수 통수 확인
3) 윤활유 점검 및 각부 급유 상태 확인
4) 냉동장치의 전 밸브 개폐 확인
'가스에 대해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용기의 종류 및 규격 (1) | 2022.09.06 |
---|---|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10) (0) | 2022.09.05 |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8) (0) | 2022.09.04 |
가스 종류별 응급처지 (0) | 2022.08.30 |
가스설비의 안전관리(배관 및 가스 사용시설) (0) | 2022.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