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가스에 대해 알아보자36

가스기능장 준비 (예상문제 풀이 및 해설 - 8) 가스 발생설비의 구조 예상문제 1.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열전 냉동 법은? 1) 전자 냉동기 2) 증기 분사식 냉동기 3) 흡수식 냉동기 4) 증기 압축식 냉동기 해설 : 펠티어 효과 - 종류가 다른 금속을 링 모양으로 접속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쪽의 접합점은 고온이 되고 다른 한 쪽의 접합점은 저온이 된다. 2. 증기 압축 냉동기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압축기 2) 응축기 3) 과냉기 4) 증발기 해설 : 냉동기의 구성 요소 - 증기 압축 냉동기 :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 흡수식 냉동기 : 흡수기, 발생기, 응축기, 증발기 3. 증기 압축식 냉동기에서 냉매가 순환되는 결로가 옳은 것은? 1) 압축기 - 증발기 - 응축기 - 팽창밸브 2) 증발기 - 압축기 - 응축기 -.. 2022. 9. 4.
가스 종류별 응급처지 1. 가연성 가스 (1) 도시가스, LPG ■ 일상점검 검지기나 비눗물 등으로 가스누출을 점검하여야 한다. - 중간밸브, 가스계량기 전 후단 등 배관 이음부의 가스누출을 점검한다. - 지하매설 배관이 있는 경우는 가스 누출 시 체류하기 쉬운 곳을 점검하도록 한다. 가스연소기의 상태를 점검한다. - 연소기의 점화장치, 안전장치 등이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 연소기 불꽃 상태를 점검한다.(불꽃이 황색을 띠면 공기가 부족하므로 환기상태를 좋게 하거나 연소기 공기조절 댐퍼를 열도록 한다.) 가스사용 시에 환기가 충분히 될 수 있도록 창문 등의 개방 및 연소기 작동 시에 환기팬이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 가스 누출 시 조치사항 - LPG 용기밸브 및 배관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① 즉시 용기밸브를 잠그고.. 2022. 8. 30.
가스설비의 안전관리(배관 및 가스 사용시설) 가스배관에서 가스가 누출되면 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화재와 폭발, 질식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배관의 보존상태 및 부속설비 유지관리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1. 배관설비의 안전관리 (1) 안전점검 ■ 정기점검 정기점검에는 모든 시설이 대상이 되어야 하며, 최소한 주, 월, 분기 등 지정된 날짜에 실시되어야 한다. ■ 수시점검 정기점검이외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 행하는 것으로 수시로 실시하며, 불안전한 요소를 사전에 발견, 제거하는 것이다. ■ 임시점검 일시적인 위험이나 정기점검 시에 밝혀지지 않은 위험성을 발견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시설의 특정개소를 조사할 때 주로 실시한다. ■ 특별점검 안전운동 등이 전개되는 가스안전 강조기간 등에 설시하거나, 또는 사고 후에 사고와 관련된 제반요소를 재.. 2022. 8. 29.
반도체 제조 공정과 특수가스의 역할 1. 반도체 제조 공정과 특수가스의 역할 일반적으로 특수가스라 함은 산소, 질소, 아르곤, 탄산, 수소 등 보통의 산업용 가스와 달리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의미하는데 반도체용 가스, 표준가스, 희귀 가스, 고순도 및 초고순도 가스, 혼합가스 등이 특수가스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러한 특수가스는 혼합비율에 따라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종을 만들어낼 수 있는 혼합가스를 제외시킨다 해도 어느 정도 표준화되어 있는 제품만 3백 여종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특수가스 중에서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산업용 가스 업계로부터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가스는 역시 반도체용 특수가스이다. 가격 측면에선 단연 정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수요와 공급에 한계가 있는 제논, 크립톤, 헬륨 등 희귀 가스들과 달리 .. 2022. 8. 26.
반응형